백엔드 DevOps4 Azure에서 파일 저장하려면? Blob Storage 개념 정리 Azure Blob Storage에서 Blob(Binary Large Object)은 대용량의 비정형 데이터(이미지, 동영상, 로그 파일 등)를 저장하는 단위를 의미💡 Azure Blob Storage 개념Azure에서 Blob Storage는 클라우드에 파일을 저장할 수 있는 서비스. 쉽게 말하면, AWS의 S3와 비슷한 개념이고,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할 수 있는 파일 저장소이다📌 Blob의 역할과 특징비정형 데이터 저장Blob은 텍스트, 이미지, 영상, 로그, 백업 파일 등 다양한 파일 저장 가능.데이터베이스처럼 구조화된 데이터(SQL)보다는 파일 기반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용도.클라우드에서 데이터 액세스Azure에서 제공하는 URL을 통해 웹/앱에서 바로 접근 가능.HTTP/HTTPS 프로토콜을 .. 2025. 3. 5. Ubuntu 환경에서 Docker 켜기 이틀 헤매고 ... 답변 얻은 후 또 물어보지 않기 위해---기록용 powershell 터미널 창에서 wsl --list --verbose wsl --set default Ubuntu wsl --list --verbose 우분투 환경으로 설정 변경해줌 wsl 터미널 창에서 sudo apt-get update -y sudo apt install apt-transport-https ca-certificates curl software-properties-common -y curl -fsSL https://download.docker.com/linux/ubuntu/gpg | sudo gpg --dearmor -o /usr/share/keyrings/docker-archive-keyring.gpg echo .. 2025. 2. 20. 스프링부트로 s3에 이미지 업로드 하기 ++열심히 삽질하고 영상도 찾아보고 구글도 찾아보다가 415에러의 늪에 빠져 허우적 거리다 찾은 쏫아날 구멍입니다! 저는 스프링 부트3에서 작업했습니다. 저의 상황부터 말씀드리자면, 유저가 게시글을 등록하려고 하면 text부분은 reqeustDto로 post service에서 save 되고, 이미지 파일은 MultiPartFile로 s3에 저장합니다. s3에서 저장하면 이미지에 접근할 수 있는 고유 url을 주는데 그것을 postId와 함께 이미지 entity에 저장합니다. 저는 모놀리식이 아닌 msa로 진행해서 이미지 entity에 저장할 때, 게시물에 접근하면 해당 이미지를 postId로 조회하기 때문에 postId와 이미지 url을 함께 저장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저는 백엔드를 맡았기 때문에 프론트.. 2023. 11. 29. s3 랑 스프링부트랑 연동하기 aws들어가면 s3를 누르고 새 버킷 만들기를 누른다. 아래의 일반 구성에 버킷이름과 aws리전만 설정하고 나머지는 건들지 않는다! 이미 비공개로 안전하게 설정되어있으므로 ㅎㅎ 그리고 아래의 버킷만들기라는 주황색 버튼을 클릭하면 이미지를 담을 수 있는 버킷 생성! S3에 접근하기 위해 IAM 사용자에게 S3 접근 권한을 주고, 엑세스 키를 만들어 액세스 키, 비밀 엑세스 키를 설정하기 위해 IAM 항목에 들어간다. 아래와 같이 검색해서 들어가기 가능! IAM들어와서 정책 카테고리 들어간 후 정책생성이라는 주황색 버튼 클릭 내가만든 정책은 아래와 같다. 여기서 리소스를 눌러 arn을 추가한다! 해당 버킷에 대해서만 이 정책이 적용되어야 하므로 적용하고 싶은 버킷이름을 설정해주는 작업이다. 추가된 것을 확인.. 2023. 11. 21. 이전 1 다음